“대출만으로는 생활이 안 되더라구요. 복지랑 같이 받아야 숨통이 트여요.” 이건 제 지인 정민 씨(부산 명지동, 37세)가 미소금융 생활자금을 받은 뒤 했던 말이에요. 그녀는 차상위계층으로 판정받고, 실제로 복지 지원금과 미소금융을 동시에 이용하면서 한 달 살림이 완전히 달라졌다고 해요.


💬 “대출은 받았는데, 생활비가 모자랐어요”

정민 씨는 작년까지만 해도 햇살론 근로자형을 이용 중이었어요. 하지만 아이 둘을 키우는 맞벌이 가정에서 남편의 실직이 겹치면서 생활비가 빠듯해졌죠. 그때 주민센터에서 “차상위로 재판정받으면 받을 수 있는 복지가 많다”는 말을 듣고 복지로 상담을 신청했어요.

그렇게 해서 2025년 기준 차상위계층 자격으로 ✔️ 주거급여 (월 25만 원) ✔️ 교육급여 (자녀 2명 교재비) ✔️ 에너지 바우처 (겨울 15만 원 상당) 을 받기 시작했고요, 여기에 미소금융 생활자금 800만 원을 더하면서 재정 여유가 생겼습니다.


💡 복지 + 미소금융, 이렇게 같이 받았어요

구분 복지제도 금융지원 비고
주거 안정 주거급여 (월 25만 원) 미소금융 생활자금 일부로 전세보증금 보전 임대료 부담 완화
교육 지원 교육급여 (교재비·수업료) 대출금 일부를 학원비로 사용 자녀 교육비 안정
생활비 지원 에너지바우처 (겨울철 15만 원) 미소금융 800만 원 / 금리 3.8% 난방비·식비 보전

정민 씨는 이렇게 말했어요. “처음엔 대출이 부담이었는데, 복지랑 같이 쓰니까 한결 여유로워졌어요.” 단순히 돈을 빌리는 게 아니라, 복지 지원금으로 상환 부담을 줄이는 구조를 만든 거예요.


📋 실제 신청 순서 (지인이 직접 한 순서)

  1. ① 복지로 접속 → “차상위계층 확인” 및 주거·교육급여 신청
  2. ② 주민센터 방문 → 자격 확인서 및 차상위 증명서 발급
  3. ③ 서민금융진흥원 상담 예약 → “복지 수급 중 생활자금 필요” 설명
  4. ④ 미소금융센터 방문 → 대출심사 (소득·통장내역 확인)
  5. ⑤ 승인 후 복지 지원금 + 미소금융 자금으로 병행 사용

이 과정을 통해 정민 씨는 총 지원금 약 1,200만 원 규모를 확보했어요. 복지로 받은 지원금으로 생활비를 커버하고, 미소금융 자금으로 누적된 카드빚을 정리한 덕분에 신용점수도 670점 → 720점으로 회복됐습니다.


⚙️ 이런 분들에게 특히 추천합니다

  • ✔️ 현재 차상위계층 판정을 받았거나 받을 예정인 분
  • ✔️ 이미 복지 혜택을 받고 있지만 생활비가 여전히 빠듯한 분
  • ✔️ 복지 + 금융을 한 세트로 활용하고 싶은 분
  • ✔️ 신용점수 600~720점대 사이의 근로·자영업자

💬 요약하자면, 복지로에서 생활비를, 미소금융으로 자금 유동성을 확보하면 정말 숨통이 트여지는 것 같았어요.


📞 상담 TIP

- 서민금융진흥원 대표번호 1397 - 복지로 콜센터 129 전화하면 지자체별 복지 담당자 연결도 바로 됩니다.

상담 시 이렇게 말하면 좋아요 👇 “현재 차상위계층입니다. 복지 지원과 병행 가능한 미소금융 상품이 있을까요?” 👉 이렇게 문의하면 바로 연계 가능한 생활자금 상품을 안내해줍니다.


🌿 마무리하며

정민 씨는 지금도 말합니다. “복지랑 금융을 따로 생각했을 땐 늘 부족했는데, 같이 쓰니까 좀 여유롭게 되더라구요.”

정부의 복지는 기본 생활을, 미소금융은 그 틈을 메워주는 역할을 합니다.
놓치지 말고 두 가지를 꼭 함께 챙기세요.
월급은 그대로라도, 체감 생활비는 분명 달라집니다. 💪


📚 함께 보면 좋은 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