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막 결혼 준비인 단계에서 '집'이라는 주제는 정말 무겁고 현실적인 문제였죠.
특히 주변 친구들이 하나 둘 청약에 당첨되면서 '나도 신청해봐야 하나?' 싶더라고요.
그러나 막상 알아보니 조건이 까다롭고, 복잡한 용어들도 많아서 머리가 지끈했죠.
그래서今天은 제가 준비하면서 겪었던 과정을, 친구의 실제 당첨 사례를 바탕으로 신혼부부 청약 1순위 조건을 제대로 정리하고자합니다.
1. 혼인신고 기준과 ‘신혼부부’ 인정 시점
청약제도에서 '신혼부부'로 인정받기 위해선, 혼인신고 후 7년 이내여야 해요.
여기서 중요한 건 '결혼식'이 아니라 '혼인신고' 기준이다라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예식은 11월이었지만, 혼인신고를 미리 9월에 먼저한 이유는 바로 이 신혼부부 청약 혜택 때문이었어요.
이유는 바로 이 신혼부부 청약 혜택 때문이었죠. 당첨 기회를 잃을 수도 있으니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그리고 예비 신혼부부도 청약이 가능해요.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았어도, 청약 접수 마감일까지 혼인신고 예정이라면 신청할 수 있어요.
나중에 당첨된 뒤에 혼인신고를 마쳤고, 큰 문제 없이 계약까지 잘 진행됐습니다.
2. 무주택 세대 구성원 요건
신혼부부 특별공급은 무주택자를 위한 제도입니다.
여기의 핵심은 '세대 구성원 모두가 무주택자여야 한다'는 것인데요.
첫 번째는 '나는 집이 없으니까 괜찮겠지~'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자세히 알아보니 같이 세대를 이루는 배우자의 부모님이 세대원으로 묶여 있을 경우, 그분들의 주택 소유 여부도 조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배우자 부모님이 세대에 포함되어 있었고, 그분이 소형 주택 하나를 소유하고 있던게 문제였죠.
이후 주민등록등본과 가족관계증명서를 새로 정리해서 세대 분리를 한 뒤 다시 청약에 도전했고, 그제야 조건을 충족할 수 있었습니다.
👉 정리하면, 신청 시점 기준으로 본인과 배우자가 포함된 ‘세대’ 전체가 무주택자여야 한다는 점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3.소득·자산 기준 & 가점제 적용 여부
>
신혼부부 특별공급에는 공공과 민영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공공분양은 소득과 자산 기준이 더 엄격한 편이에요.
공공분양 기준 (2025년 기준):
>
-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20% 이하 (맞벌이는 130%)
>
- 부동산 자산 2억 5천만 원 이하
>
- 자동차 시가 5,000만 원 이하
> 1.건
다행히 조건 내였고, 자산은 전세 보증금만 있었기 때문에 통과됐죠.
>
또 하나!
!
공공분양은 가점제가 적용되지 않고 추첨제가 기본이에요.
.
그러나 민영 분양은 소득 기준이 없거나 완화되고, 가점제 비중이 커서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을 꼼꼼히 챙겨야 해요.
제 친구는 민영 아파트 청약을 넣었는데, 부양가족 수가 2명 이상이고,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8년.
반면 저는 청약통장을 늦게 들어서 점수가 낮아아 공공 쪽에 도전했죠.
<strong청약은 조건만 맞춘다고 무조건 당첨되는 건 아니지만, 조건을 제대로 모르면 아예 기회를 잡지 못하는 경우도 많아요.>
저도 그랬고, 친구도 그랬습니다.
.
특히 신혼부부 청약은 '특별공급'이라 당첨 확률이 비교적 높은 편이라 꼭 한 번 도전해보시길 추천드려요.
>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말씀드리지만, 이건 복잡하지만 생각보다 실현 가능한 기회입니다.
.
좋은 결과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청약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별공급청약 실수하지 않게!! (0) | 2025.10.02 |
---|---|
2025년 1주택자 청약 전략 자주하는 실수 3가지 (0) | 2025.10.02 |
신혼부부 청약 1순위 조건, 저희도 처음엔 몰랐어요 (0) | 2025.10.01 |
주택담보대출 비교: 주거래은행과 청약지정은행의 대출 조건 분석 (0) | 2025.10.01 |
신혼부부 청약 전략과 리얼 후기 – 우리가 직접 겪어봤어요 (0) | 2025.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