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신고 전인데 청약 되나요?” — 신혼부부·예비신혼부부 실제 준비기
“우리도 이제 집 알아봐야 하지 않을까?” 결혼식 준비하면서 남편이 그렇게 말했어요. 청약은 늘 멀게만 느껴졌는데, 막상 시작하니 ‘이건 정보 싸움이구나’ 싶더라구요. 처음엔 용어조차 헷갈렸지만, 직접 뛰어다니며 하나씩 배웠어요.
1️⃣ 청약통장 — “시간이 돈보다 중요했어요.”
상담사분이 ‘24개월 납입, 24회 이상이 1순위 기준’이라 했어요. 저는 겨우 20회라 자동이체금액을 올리고, 남편 통장은 합산 예치금 기준으로 재점검했죠. 지금 생각하면 ‘청약은 꾸준함이 전부’예요.
💬 남편: “우리 진짜 매달 넣는 거 잘하고 있는 거지?” 나: “응, 이게 모이면 언젠가 진짜 우리 집이 될 거야.”
매달 문자로 납입 알림이 오면 괜히 뿌듯했어요. 이게 곧 ‘우리 미래의 집 기둥’ 같았거든요.
| 항목 | 국민주택 | 민영주택 |
|---|---|---|
| 가입기간 | 24개월 이상 | 지역별 예치금 충족 |
| 무주택 | 세대 전원 무주택 | |
| 거주 | 2년 이상 거주 시 우선공급 | |
2️⃣ 예비신혼 vs 신혼 — “결혼 전에도 가능했어요.”
혼인신고 전이라 불가능할 줄 알았는데, 예비신혼부부 특별공급이 있더라구요. 웨딩홀 계약서랑 모바일 청첩장 캡처본을 첨부했더니 통과! 공고문에 ‘혼인 예정 증빙 가능’이라고 써 있었어요.
• 예식계약서 (PDF)
• 모바일 청첩장 링크
• 청약통장 거래내역
• 무주택 확인서
3주쯤 뒤 ‘LH공사 접수완료’ 문자를 받고 남편이랑 서로 부둥켜안고 울었어요 😂 진짜 우리가 할 수 있다는 게 믿기지 않았어요.
3️⃣ 옆집 부부 이야기 — “붙은 집, 떨어진 집의 차이”
같은 아파트 단지 청약을 신청했던 이웃 부부가 있었어요. 그분들은 ‘신혼 5년차 + 자녀 1명’으로 신혼부부 특공으로 지원했대요. 우린 예비신혼 특공이라 경쟁률이 조금 높았고요.
결과는 그 부부는 당첨, 우린 예비번호 23번. 차이는 ‘통장 납입횟수 4회’였어요. 그때 확실히 느꼈어요 — 청약은 숫자 싸움이라는 걸.
🧾 이웃 아내 말: “우리도 작년에 떨어졌는데, 납입횟수만 채워서 이번엔 붙었어요.” 나: “진짜 그거였네요… 다음엔 무조건 된다.”
그 뒤로 납입일마다 달력에 동그라미를 치고 있어요. ‘오늘도 한 칸 채웠다’는 느낌이 꽤 기분 좋습니다.
4️⃣ 공공 vs 민영, 직접 비교해보니
처음엔 ‘민영이 더 좋아보인다’ 했는데, 실제 신청을 해보니 공공분양은 소득 조건, 민영은 예치금 조건이 까다롭더라구요. 단순히 평수나 가격보다, 내가 충족할 수 있는 조건부터 보는 게 핵심이에요.
| 구분 | 공공분양 | 민영분양 |
|---|---|---|
| 소득기준 | 도시근로자 130% 이하 | 제한 없음 |
| 가점방식 | 가점 + 추첨 혼합 | 추첨 중심 |
| 신청대상 | 무주택세대 구성원 | 1순위 청약통장 보유자 |
공공분양은 서류가 많지만, 대신 안정적이고 재당첨 제한도 느슨했어요. 민영은 깔끔하지만 경쟁률이 정말 치열하더라구요. 다음엔 ‘공공으로 확정’하고 준비 중입니다.
5️⃣ 한 줄 결론 — “꾸준하면 언젠간 된다.”
이번에는 아쉽게 예비번호로 끝났지만, 서류 정리부터 제출까지 전 과정을 혼자 해낸 게 너무 자랑스러워요. 그리고 진심으로 느꼈어요. 청약은 ‘운’보다 ‘준비의 반복’이라는 걸요.
결혼 전엔 막막했던 단어들이 이제 익숙해졌어요. 남편이 “이번엔 진짜 될 것 같지 않아?” 하길래, 저도 웃으며 대답했어요. “응, 우리 이번엔 진짜 붙자.”
※ 본 글은 실제 예비신혼 청약 준비 경험을 토대로 2025년 공공·민영 청약 절차를 비교 정리했습니다.
지역·소득·혼인 시기에 따라 조건이 달라질 수 있으니 각 공고문을 꼭 확인하세요.
